컴퓨터와 노트북의 절전모드 해제 방법은 운영 체제와 모델에 따라 다르다. 오늘의 피드에서는 컴퓨터와 노트북의 윈도우 버전에 따른 절전모드 해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
1. 윈도우 10 버전 절전모드 해제
2. 윈도우 11 버전 절전모드 해제
절전모드
절전모드는 컴퓨터를 끄지 않고도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유용한 기능이다. 다만, 사용하기 전 절전모드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전력 감소 : 절전 모드는 컴퓨터의 전력 소비를 줄여준다. 일반적으로 50% ~ 70% 정도 전력 소비가 감소한다. CPU와 하드 드라이브를 비롯한 주요 하드웨어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전력 소비를 줄인다.
- 빠른 재개 : 절전 모드에서는 컴퓨터가 이전의 상태를 메모리에 유지하므로, 사용자가 작업을 바로 계속할 수 있다. 컴퓨터를 끄고 다시 켜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다시 시작할 수 있다.
- 시스템 자원 보존과 편리함 : 열린 응용 프로그램과 문서를 메모리에 그대로 유지하므로, 다시 시작할 때 로드할 필요 없이 시스템 자원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점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손실 위험 : 절전모드를 사용하는 동안 컴퓨터가 충돌하거나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잃을 수 있다.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컴퓨터를 절전모드로 설정하기 전에 항상 작업을 저장하는 것이 좋다.
- 하드웨어 손상 위험과 보안 취약성 : 드물지만 절전모드로 인해 하드웨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래된 컴퓨터 또는 배터리가 있는 컴퓨터의 경우 그렇다. 절전모드에서는 로그인 상태가 유지되므로, 물리적으로 접근 가능한 경우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다.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 호환성 문제 : 일부 프로그램 및 장치는 절전모드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가 절전모드로 들어가지 못하거나 깨어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여전한 전력 소비 : 절전 모드는 완전히 전원이 꺼진 상태보다는 전력을 더 많이 사용한다.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완전히 끄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윈도우10 절전모드 해제
윈도우 검색창에 전원 및 절전 설정을 입력한 뒤 로딩되면 엔터를 누른다.
전원 및 절전 창이 생성되면, 화면의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끄기 더 보기 버튼을 클릭한다.
안 함을 선택한다.
절전 모드에서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PC를 절전 상태로 전환도 동일하게 안 함을 선택한다.
설정이 완료되면 전원 및 절전 창을 닫기 하면 된다. 참고로, 노트북의 경우 배터리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 끄기와 배터리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도 동일하게 안 함으로 눌러야 한다.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윈도우11 절전모드 해제
윈도우 11의 검색창에 절전 모드를 입력하여 다음과 같이 전원 사용 시 PC가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시간 변경을 선택한다.
화면 및 절전에서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화면 끄기 더 보기를 선택한다. 필자의 경우 노트북으로 배터리 관련 설정이 보이는 것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안 함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전원 사용 시 다음 시간이 경과하면 장치를 절전 상태로 전환 안 함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창을 닫기 하면 된다.
노트북의 경우는 화면 및 절전의 모든 항목을 안 함으로 선택하고 닫기를 누르면 된다.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정리
컴퓨터 및 노트북 절전 모드는 사용자의 필요와 환경에 따라 그 적합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 gpt 유료 가격 할인 방법 - 챗GPT4! (0) | 2024.06.01 |
---|---|
스팀 다리미 추천 TOP 7선 - 핸디형, 스탠드형, 리뷰 인기 순위! (0) | 2024.05.27 |
티스토리 저품질 다음 검색 누락 - 해결 방법! (0) | 2024.05.23 |
휴대용 포토프린터 추천 BEST 5 인기 상품! (0) | 2024.05.21 |
윈도우 공유폴더 만들기 - 컴퓨터 연결 방법! (0) | 2024.05.20 |
댓글